전국 지역화폐 가맹점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지역화폐가맹점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3 / 2025-01-26 06:28:52
하루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계두길 13
'녹산 소주방'에서 0km
바로가기
벌교죽집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계두길 13-1
'녹산 소주방'에서 0km
바로가기
호남종합전기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채동선로 277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한국농약사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채동선로 275-1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수지미용실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계두길 5-1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덕일감자국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채동선로 285-2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모리씨 빵가게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태백산맥길 40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영주식당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계두길 17-1
'녹산 소주방'에서 0.1km
바로가기
조선 후기 궁궐 건축 양식을 따랐다. 산책로를 따라서 걷다가 도착한 이곳은 태원전으로 들어가는 건숙문이다. 태원전은 고종 5년(1868)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 9년(1872) 태조와 원종의 어진을 봉안하였으며 고종 27년(1890)에는 신정왕후의 빈전으로, 고종 32년(1895)에는 명성왕후의 빈전으로 사용되었다...
별나라 covra의 지구별 여행 이야기(2024-03-22 19:49:00)
탐방 후기를 나누어보겠다. 첫 번째로는 왕의 침전 강녕전의 바로 뒤에 위치한 왕비의 침전 교태전이다! 6. 교태전 : 왕비의 침실 - 양의문과 굴뚝 경복궁의 거의 모든 전각은 들어가는 문과 사방의 둘레가 행각들로 구성돼 있으며, 입구 문과 담벼락 모두 참 예쁜데 특히 강녕전과 교태전 사이의 골목과 출입문 양의...
곽한솔(2023-10-07 19:35:44)
조선 후기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 재건사업을 하던 고종 4년(1867년) 대왕대비 조씨를 위하여 경복궁에 지은 전각으로, 고종 10년 12월 화재로 불탄 것을 고종...된 왕비에게 물려주게 되는데, 이때 대비가 주로 사용하던 곳이 자경전이다. 소주방에서 나와서 처음으로 들른 곳이 자경전! 근데 사람들 사는 거 다 똑같은...
중얼중얼(2024-04-25 13:57:00)
외 소주방이 있었다. 경회루 : 국보 *경회루 慶會樓(慶會 : 경사스러운 연회) *볼거리 : 경회루, 경회루 내부모습, 경회루 야경, 경회루 설경 경복궁 경회루 (출처:궁능유적본부) 경회루는 침전인 강녕전 서쪽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으로 외국사신 또는 군신 간의 연회장소로 사용되었다. 경복궁 창건 당시는 작은 누각...
보고의 여행수첩(2023-02-19 03:48:35)
진 소주방은 공사중이라 구경을 못 했어요. 넘 아쉬웠지만..다음기회에 교태전 뒷쪽에 있는 함원전 후원과 굴뚝 뒷편에 정원이 아름답게 꾸며져 있네요. 여기는...이난 왕족들이 휴식하고 소요하던 침전의 후원으로 여기에는 향원지와 녹산등 원림 공간이 된다. 향원정은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실크리의 요리와 즐거운 베이킹~~!!!(2014-05-04 12:27:00)
정도였으나 후기로 가면서 20만을 넘어섰다. 당시 한성부는 길이 17km 정도의 성곽 내부와 성곽 밖으로 4km 정도를 관할하였다. 지금의 종로구, 중구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북악산 아래에는 경복궁이 있었고 그 앞의 육조거리 좌우에는 관청이 밀집해 있었으며 동서로 뻗은 운종가는 시전행랑이 밀집한 상업의 중심지였고...
gnass의 블로그(2012-05-26 20:41:00)
건립되었다. 소주방은 왕과 왕비의 일상 진지를 지어 올리는 내소주방과 궁중의 잔치, 고사 음식을 차리던 외소주방, 왕의 간식인 다식, 죽, 떡 등을 차리는 생물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철거된 것을 2015년에 복원한 것이다. 자경전 십장생 굴뚝(보물 810호) 자경전 십장생 굴뚝은 자경전 뒷담과 굴뚝...
미(味) 리스토란~떼♡(2021-12-24 17:42:00)
조선후기에 제작되었다. 여기 전시된 앙부일구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을 본 떠 만든 것이다. 만춘전. 사정전 일원을 둘러보고 강녕전과 교태전을 보러 가는 길. 언제 폭염이었나 할 정도로 선선한 주말 날씨... 쾌청한 날씨였으면 앵글은 보다 더 좋았겠지만 고궁을 거닐기에 더없이 좋은 하루. 양산도 선글라스도...
봉 & 봉의 추억쌓기(2018-08-28 07:30:00)
조선후기 고종대에 만든 곳이다. 네모난 연못에 가운데 둥근 섬을 만들어 그 위에 향원정이라 정자를 세우고 취향교라는 나무 다리를 놓았는데 이 또한 한국전쟁때 파괴되어 현재의 자리에 놓이기 되었는데 원래는 뒤쪽으로 다리가 놓였던 곳이다. 한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때면 취향교에서 미녀들이 몸매를 뽐내곤...
티케의 세상 스케치(2015-07-06 17:17:00)
시대 후기에 고종이 경복궁을 궁건하면서 새로 지은 건물로 조선전기에는 없었던 전각이다. 조선건국 480주년을 맞아 태조이성계의 어전을 봉안하기 위해 지어졌다. 빈전은 왕이나 대비, 왕비 승하 후 발인하기 전까지 시신을 모시는 전각으로 고종 이전에는 침전이나 편전의 가운데 일부를 사용해 왔는데 서양문물을...
LANATU's(2021-05-31 15:1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